맨위로가기

제1차 이케다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이케다 내각은 1960년 7월 19일부터 12월 8일까지 이케다 하야토 내각총리대신에 의해 임명되어 운영되었다. 주요 각료로는 법무대신 고지마 데쓰조, 외무대신 고사카 젠타로, 대장대신 미즈타 미키오 등이 있었으며, 나카야마 마사가 일본 최초의 여성 각료로 후생대신을 역임했다. 이케다 내각은 미국의 요청에 따라 한일 관계 개선에 나섰으나, 양국 간 입장 차이로 인해 제5차 한일 회담에서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일본 - 아사누마 이네지로 암살 사건
    1960년 10월 12일, 일본 사회당 당수 아사누마 이네지로는 3당 합동 연설회 도중 극우 성향 야마구치 오토야에게 암살당했으며, 이 사건은 일본 최초의 텔레비전 생중계 정치인 암살 사건으로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사회당 몰락과 우익 결집에 영향을 미쳤으며, 나가오 야스시의 사진은 세계적인 보도 사진으로 평가받는다.
  • 1960년 일본 - 안보 투쟁
    안보 투쟁은 1960년 기시 노부스케 내각의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에 반대하여 일본에서 일어난 대규모 사회 운동으로, 조약 강행 처리와 시위 격화 속에 발효되었고, 이후 일본 정치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 이케다 하야토 - 고도경제성장
    고도경제성장은 1954년부터 1973년까지 일본에서 연평균 10%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동양의 기적"이라 불릴 만큼 빠른 경제 회복과 성장을 이룬 현상을 말한다.
  • 이케다 하야토 -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
    1961년 7월 18일에 출범한 제2차 이케다 내각을 1962년 7월에 개조하여 새롭게 구성한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는 이케다 하야토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았으며,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사임 후 이케다 하야토가 경제기획청 장관직을 겸임하게 된 것이 특징이다.
  • 전후 쇼와 시대의 내각 - 제1차 요시다 내각
    제1차 요시다 내각은 1946년 5월 22일부터 1947년 5월 24일까지 존속한 일본자유당과 일본진보당의 연립 내각으로, 일본국 헌법 시행, 제2차 농지개혁 등 전후 일본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는 주요 정책들을 추진하였으나, 식량난과 노동 운동 격화 등으로 1947년 총선에서 일본사회당에 제1당 지위를 내주면서 총사퇴하였다.
  • 전후 쇼와 시대의 내각 - 제4차 요시다 내각
    1952년 10월 30일부터 1953년 5월 21일까지 존속한 제4차 요시다 내각은 요시다 시게루 총리 휘하의 자유당 중심 내각으로, 각료 교체와 료쿠후카이 소속 인사 참여, 그리고 바카야로 해산과 같은 정치적 사건이 있었다.
제1차 이케다 내각
제1차 이케다 내각
이케다 하야토 내각 19600719
이케다 하야토 내각
기본 정보
내각 번호58대
성립1960년 (쇼와 35년) 7월 19일
해산1960년 (쇼와 35년) 12월 8일
총리이케다 하야토
전임 내각제2차 기시 내각
후임 내각제2차 이케다 내각
정치 상황
천황쇼와
여당자유민주민주당
선거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해산1960년 10월 24일 (안보 해산)
국회 회기제35회-37회 국회
의회 현황중의원: 다수당
참의원: 다수당
야당일본사회당
일본공산당
녹풍회
야당 대표(정보 없음)
야당 내각(정보 없음)
각료
총리이케다 하야토
법무 대신고토 분키치
외무 대신고사카 젠타로
대장 대신미즈타 미키오
문부 대신아라키 마사오
후생 대신나카야마 마사
농림 대신가와노 겐조
통상 산업 대신이케다 하야토
운수 대신마쓰다이라 겐시로
우정 대신오자와 사에키
노동 대신오하시 다케오
건설 대신이와사키 에이사쿠
자치 대신마스하라 게이키치
국가 공안 위원장마스하라 게이키치
경제 기획청 장관와타나베 다케오
과학 기술청 장관미쓰케 마사고로
방위청 장관니시무라 나오미
내각 관방 장관오히라 마사요시
총리부 총무 장관후쿠나가 겐지
내각법제국 장관하야시 슈조

2. 각료

제1차 이케다 내각은 1960년 7월 19일에 임명되어 1960년 12월 8일까지 존속했으며, 나카야마 마사는 일본 최초의 여성 각료였다.[2]

2. 1. 국무대신

다음은 제1차 이케다 내각의 국무대신 명단이다.[2]

직책이름정당임기 시작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이케다 하야토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법무대신고지마 데쓰조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외무대신고사카 젠타로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대장대신미즈타 미키오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문부대신, 과학기술청 장관아라키 마스오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후생대신나카야마 마사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농림대신난조 도쿠오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통상산업대신이시이 미쓰지로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운수대신미나미 요시오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우정대신스즈키 젠코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노동대신이시다 히로히데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건설대신, 수도권정비위원회 위원장하시모토 도미사부로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자치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야마자키 이와오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0월 13일
스토 히데오자유민주당1960년 10월 13일1960년 12월 8일
행정관리청 장관다카하시 신타로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니시카와 진고로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방위청 장관에사키 마스미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경제기획청 장관사코미즈 히사쓰네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내각관방장관오히라 마사요시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총리부 총무장관후지에다 센스케자유민주당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내각법제국 장관하야시 슈조무소속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내각관방부장관(정무)사사키 모리오자유민주당1960년 7월 22일1960년 12월 8일
내각관방부장관(사무)오가와 헤이지자유민주당1960년 7월 22일1960년 12월 8일
총리부 총무부장관사토 아사오무소속1960년 7월 19일1960년 12월 8일



나카야마 마사는 일본 최초의 여성 각료이다.

2. 2. 내각관방장관・총리부 총무장관

오히라 마사요시가 내각관방장관을, 후지에다 센스케가 총리부 총무장관을 맡았다.[2] 이들은 국무대신이 아니었다.

제1차 이케다 내각의 내각관방장관 및 총리부 총무장관
직책성명사진출신 등
내각관방장관오히라 마사요시
중의원, 자유민주당 (이케다파)
총리부 총무장관후지에다 센스케
중의원, 자유민주당 (기시파)


2. 3. 법제국 장관・내각관방부장관・총리부 총무부장관


  • 내각법제국 장관 - 하야시 슈조[2]
  • 내각관방부장관(정무) - 사사키 모리오[2] (1960년 7월 22일 ~ )[2]
  • 내각관방부장관(사무) - 오가와 헤이지[2] (1960년 7월 22일 ~ )[2]
  • 총리부 총무장관 - 사토 아사오[2]

3. 정무 차관

직책이름비고
법무 정무 차관무라세 노부치카
외무 정무 차관가쓰마타 미노루
대장 정무 차관간규 쓰네오, 아키야마 도시치카
문부 정무 차관오쓰보 야스오
후생 정무 차관다나카 마사미
농림 정무 차관다구치 조지로, 우다 구니에
통상 산업 정무 차관기무라 모리에, 오카모토 시게루
운수 정무 차관야마다 야이치
우정 정무 차관니와 효스케
노동 정무 차관오카자키 에이조
건설 정무 차관미와 세이이치
자치 정무 차관요시다 시게노부
행정 관리 정무 차관마쓰자와 유조
홋카이도 개발 정무 차관나카하라 젠이치
방위 정무 차관시오미 슌지
경제 기획 정무 차관고토 요시타카
과학 기술 정무 차관오타니 도노스케



1960년 7월 22일에 임명되었다.

4. 한일 관계

미국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이케다 내각은 한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섰다. 1960년 10월부터 제5차 한일 회담을 재개했으나, 양국 간 입장 차이로 인해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1] 이토 마사야는 이케다가 한일 회담 교섭에 긍정적으로 임하게 된 배경에는 미국의 요청이 있었음을 시사하며, "이케다 씨에게 부탁이 있다. 한국 문제는 일본이 중심이 되어 정리하지 않으면, 어떻게든 정리가 되지 않는 결정적인 키 컨트리(key country)다. 그것을 해줬으면 좋겠다"라고 이케다에게 부탁했다고 회고했다.[1]

참조

[1]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웹사이트 First Ikeda Cabinet http://www.kantei.go[...]
[3] 웹사이트 http://ironna.jp/a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